2017/07/08
왜 집을 짓느냐고 물으신다면
집을 짓고 싶었습니다, 라고 대답하렵니다.
하지만 요즘에 '-싶다'는 왜 그렇게 멀기만 한 욕망처럼 느껴질까요.
각자 생김새는 다르지만 유사한 욕망을 품고, 유사한 이야기를 나누고, 유사한 생활을 하며 유사하게 살아가는 것. 욕망마저 내 것이 아닌 남의 것과 다를 바 없어진 요즘, 어이쿠, '집을 짓는다!'니요.
남들 다 사는 아파트에서 걱정 없이, 완전하게 밀폐된 삶을 살면 될 것을.
더군다나 집을 지으면 십 년은 늙는다는데 '집을 짓는다!'니요.
건축 일기를 쓰는 일
집을 짓고 싶다는 열망만큼이나 뜨겁게 나를 자극하는 건 집 짓는 과정을 기록하는 일이다.
하지만 여전히 방향을 못 잡고 있는 듯한 이 기분은 무엇일까(이렇게 버젓이 '건축 일기'라고 명명한 기록을 하고 있으면서도).
어제는 도서관에서 우연히 집 짓기에 관한 한 권의 책을 발견했다. 솔토건축의 조남호 건축가가 설계하고 죽전에 지어진, 살구나무집이라고 이름 지어진 두 동의 집에 관한 책.
건축주는 소위 주거 문화 전문가라고 하는, 친구 사이인 두 명의 교수.
서두만 읽은 책에서, 저자는 책을 쓰고자 한 동기를 우리 나라에서 중산층이 집을 짓고 살 수 있다는 걸 '증명'하고자 하는 마음에서였다고 밝히고 있다(이 점, 특히 아파트 가격으로 단독 주택을 지어 살 수 있다는 건 아내가 '증명'하고 싶어한 것이기도 하다).
나는 생각한다. 우리의 동기는 무엇이었을까. 선생님께서 우리에게 던졌던 질문, 그 근원으로 돌아가게 된다. 동시에 나는 왜 기록을 하는가에 대한 질문의 문 앞에 서 있다.
무엇일까? 내게 기록이란, 우리에게 집 짓기란.
17. 7. 5.
건축 일기를 시작하며
건축 일기를 쓰고자 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기록을 해야 한다."
이 때의 기록은 반드시 정제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
특별한 양식을 갖춰야 하는 것도 아니다.
내가 만족할 만한 것이 유일한 기준이라면 기준일 텐데,
비좁은 딜레마에 스스로를 가둬버려 지금껏 기록을 했으나
그 기록은 산만하게 이곳 저곳에 흩어져 있어
이도 저도 아니게 되어 버렸다.
그래 결국 이렇게 새 장(場)을 마련한다.
이제 000의 기록은 이곳으로 흐르고 흘러
작은 개울이, 하천이, 강이 될 것이다.
그 강에, 몸 누일 만한 모래톱 간간이 있어주길 희망한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