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넓은 길이 좋다고 생각하지만 옛날에 어느 유명한 건축가가 얘기했듯이, 길을 가다가 건너편에 오는 사람의 얼굴을 보고 최소한 '아. 누구다' 알아볼 수 있을 정도가 좋은 길이라, 그 폭을 넘어서면 이 쪽하고 저 쪽하고 관계가 없는 거죠. 분당도 그렇지만 신도시에 가 보면 밤에 혼자 걸어갈 때면 사람은 별로 없고, 양쪽 인도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안도감이 생기거든요. 상점은 있는 데만 죄다 모여 있고, 아파트 근처는 컴컴해요. 조닝 플랜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섞이지 않는 겁니다. 그런 척도가 아쉬운 거죠. 멀찍이 보면 쾌적한 느낌으로 보일지언정, 그 쾌적함이 시각적인 거지, 심리적으로는... 물론 서울에 비해서 길이 넓으니까 쾌적하다고 보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그건 학습된 거죠. 미국이야 대중 교통이 좋지 않으니 차도가 넓어야 합니다. 하지만 지하철이나 버스를 이동의 기준으로 삼는다면 반드시 도시를 그렇게만 만들 필요는 없는 거죠. 모든 사람이 자가용 모는 것도 아니고, 우리 나라처럼 이렇게 좁은 지역에 몰려 살 때 꼭 그럴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조성룡, <응답하라, 도시 주택 (제2편)>, '시원하고 넓은 길', 웹진 民硏
나는 어린시절에 서울의 가회동, 낙원동, 제동, 인사동을 중심으로 고불불한 많은 길을 누비며 걸어 다녔고, 자전거도 타고, 제기도 차며 그 길 속에서 자랐다. 그때 길은 나에게는 마당이요, 놀이터요, 시쳇말로 거실이요, 휴식의 처소요, 나의 몸 크기와 살갗에 알맞은 주위 공간이었다.
양쪽 팔을 벌리면 끝이 닿을락 말락 하는 좁은 골목에서부터 끝이 막혀있는 막다른 골목길에 이르기까지 골목길의 폭도 일정치 않을 뿐더러 아늑하게 구성되어 있어 보금자리로서는 안성맞춤이었다. 저녁 어스름이 골목길에 깔릴 즈음에 대문이 삐걱 열리며 흰 한복 차림의 여자들이 치마 끝을 살짝 쥔 채로 문턱을 넘어 드나드는 풍경은 붉게 타는 저녁놀과 대비되어 한 폭의 그림과 같이 아름답게 보였다. 이처럼 골목길은 그 안에서 피어오르는 삶의 훈훈한 정과 체온을 빠짐없이 옮겨 주었던 것을 나는 기억하고 있다. 또 지나가는 동네 어른이 그곳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의 머리를 쓰다듬어 주지 않고서는 그냥 지나가기가 어딘지 허전한 느낌이 드는 그런 크기의 길을 나는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김수근, <좋은 길을 좁을수록 좋고, 나쁜 길은 넓을수록 좋다> 92쪽, 김수근문화재단,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