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29

루이스 칸

"저는 이렇게 믿어요. 한 인간이 지니는 가장 커다란 가치란 그것이 내 것이 아니라고 주장할 줄 아는 데 있다고 말이지요. 제가 해 온 방법은 정말로 저만의 개인적인 것입니다. 그러니 만일 여러분이 제 것을 흉내를 낸다면 여러분은 몇 번이고 수없이 죽는 짓을 하는 겁니다. 왜 그런지 아세요? 내가 내 자신을 흉내를 내 봐야 별로 잘 될 것이 없음을 스스로 알고 있으니까요. 게다가 우리가 하는 일이라는 게 정말 완전하지 못한 것이니까요. 그렇지만 우리가 하는 일은 우리에게 속한 것이 아닙니다. 이 사실이 정말 소중합니다. 우리가 내놓을 수 있는 것이 있다면 우리에게만 속하는 것이 아닌 이것입니다. 우리에게만 속하지 않은 이것이 우리가 만든 작품 중에서 더욱 좋은 부분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우리에게만 속하지 않은 이것은 누구나 쓸 수 있는 보물입니다. 어떤 사람이 그 보물을 생각했다고 할지라도, 그는 그저 그 보물을 생각한 것뿐입니다. 여러분이 어쩌면 그 사람일지 모르겠군요. 왜냐하면 그 보물을 정말 모든 사람에게 속한 보편적인 공동성의 한 부분이니까요."
김광현,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52쪽, 공간서가 
 
본래 두 개의 연구동 사이에 있는 이 중정은 연구자들이 휴식하고 산보하는 장으로 나무를 심고 그 나무 밑에서 조용히 묵상도 할 수 있는 정원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던 것이 이 광장에는 아무 것도 두지 않고 '하늘을 향한 파사드'를 만드는 것이 좋겠다는 멕시코의 건축가인 루이스 바라간Luis Barragán의 조언을 받아들여 트레버틴을 깐 광장으로 바꾸었다. 칸은 이런 변경안에 매우 만족하였으며, 또 건축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조형에 크게 감탄하고 있다. 그런데 칸을 돕던 구조기술자 어거스트 코멘던트August Komendant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있었다. 그는 이렇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였다. "나는 몇 사람의 과학자에게 이 변경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았다. 그랬더니 그들은 모두 돌로 된 광장보다는 정원을 바라고 있었다. 그들 중 한 사람은 주변에 메마른 땅이 펼쳐져 있으니 아름다운 정원이야말로 이 장소에 어울린다고 말하기까지 하였다. 나는 언젠가 이곳이 정원으로 바뀌게 되기를 기대한다." 
같은 책 95-96쪽  

©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