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4

우리집 셋째

우리 가족은 수원 행궁동에 산다. 

오늘은 퇴근길에 카페에 들러 먹음직스런 케이크를 하나 샀다. 초는 다섯 개. 지금 사는 집에 이사오자마자 돌잔치를 했던 막내는 곧 만 여섯 살이 된다. 그러니 다섯 개의 초는 다름아닌 '집'의 나이인 셈이다. 우리 가족은 이렇게 이사온 날을 기념해 조촐하게 케이크에 초를 꽂고 '집의 생일'을 축하한다. 

오늘은 둘째인 막내가 말했다.  

"다섯 살이면 우리집 셋째네." 


새집을 짓기 위해 우리가 헐어버린 옛집 주인과 계약을 체결하던 날 부동산을 나와 등기부등본에 걸려 있는 근저당을 말소하기 위해 옛 주인과 동행했다. 옛 주인은 같은 날 집 두 채를 매도했는데 그 중 한 채가 장안문 앞에 있는 정지영커피집이다. 주인과 동행해 먼저 들른 곳은 자동차 부품이 즐비한 그의 가게였는데, 정지영커피집 바로 옆에 있던 그 가게도 지금은 술집이 되었다. 


우리 가족이 행궁동에 이사온 2019년만 해도 동네가 지금처럼 번잡하지는 않았지만 변화는 곳곳에서 시작되고 있었다. 그 사이 뒷집 어르신이 지병으로 동네를 떠나시고, 골목 안에 계시던 할머니도 떠났다. 골목의 파수꾼처럼 매의 눈으로 부지런히 동네를 보살피던 어르신마저 떠나자 골목에 있던, 어르신들이 모여 앉아 이야기를 나누고 음식을 나눠 먹던 평상은 치워졌다. 하루는 골목에서 빗질을 하고 있는데 평소에 즐겨 대화를 나누지는 않았던 골목 건너집 할머니가 아무 기대도 희망도 없는 말투로 말하셨다. 우리 곧 이사간다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 집은 헐리었고 아직 빈 터로 남아 있다. 

부끄럼 많은 첫째 아이가 이사오자마자 찾아가 놀곤 하던, 또래가 살던 골목 안쪽 집은 이제는 동네에 두 개나 들어선 유명한 카페가 되었고, 대여섯 명의 아이들이 골목에서 맘껏 놀고 있으면 러닝 셔츠 바람으로 길에 나와 아이들을 지켜보던 할아버지가 살던 집은 공방으로 바뀌었다. 

우리가 집을 지을 때만 해도, 이사오고 나서도 한동안은, 우리 집 앞 골목이 자동차가 다닐 수 있는 길 중에는 가장 한산했다. 그랬던 길과 골목마저 이렇게 됐으니 신풍장안동의 다른 곳은 말해 무엇하랴. 

아내가 "여기서 얼마나 더 살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 지는 이미 오래 되었다. 어쩌면 나는 그걸 몰라서가 아니라 피하고 싶어서 차마 묻지 못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2024년 이른 봄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 (마쓰이에 마사시, 2016)

"그렇게 큰 집만 설계하다가는 스케일 감각이 이상해지거든."

혼잣말처럼 이구치 씨에게 이야기한 것이 진짜 이유였다. 

1960년대에 들어서고 나서 몇 년간 국가가 관여하는 대규모 공사를 위촉받아 침식을 잊고 일했지만, 설계 방침을 둘러싸고 담당 부서와 대립하다가 굴복하는 일이 잦았다. 그러니만큼 미국에서의 경험과 평가는 눈에 보이지 않는 버팀목이 되었을 것이다. 같은 시대에 활약한 대부분의 건축가는 미래지향적 도시론이나 문화론을 웅변하면서 잇달아 공공 건축을 낙찰했다. 한편 선생님은 설계 경합을 전제하는 공공 건축에는 관여하지 않았고, 원래가 튀는 건축론을 피력하는 사람도 아니었기 때문에 미디어가 다루는 기회도 저절로 적어졌다. 그러나 나는 그 시절의 선생님 건축을 십 년, 이십 년 뒤에 직접 보고 돌아다니면서 무라이 슌스케라는 건축가가 묵묵히 계속해온 일의 비범함을 피부로 느끼게 되었다. 고도경제성장의 파도에 휩쓸리지 않고, 안이한 자기과시욕에 구애되지 않고, 실질적이면서도 시대에 좌우되지 않는 아름다움을 지닌, 그러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한 건물을 무라이 슌스케는 하나하나 만들어내고 있었다. (16)

아스플룬드의 스톡홀름 시립도서관의 디테일은 정면 현관문부터 시작된다. 이용자가 잡는 손잡이에는 아담과 이브의 작은 조각이 있다. 이제 바야흐로 '금단의 과일'인 사과를 먹으려고 하는 아담은 나체를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아직 없으니까, 무화과 잎사귀로 숨기지 않고 편안하게 하반신을 드러내고 있다. 도서관 입구 문손잡이에 조금 우습기도 하고 오묘하기도 한 그 순간을 고른 것은 아스플룬드의 작은 장난일까? 도서관에는 그밖에도 의장意匠인지 장난인지 모를 디테일이 모른 척 준비되어 있다. 이용자의 시각과 촉각에 호소하는 이들 디테일은 체감으로 기억에 남을 것이다. 

예컨대 대열람실 개가식 책장 벽면에는 호두나무 벽이 책 뒤 표지 같은 곡면을 이루고 있고 놋쇠를 사용한 아르 데코 스타일의 상감상 상감象嵌은 금박을 입힌 가죽 책표지를 연상시킨다. 입구에서 완만하게 올라가는 계단 난간에는 촘촘하고 빈틈없이 무두질한 가죽이 감겨 있다. 음료대에는 작은 인체를 조각한 수도꼭지가 달려 있다. 모든 것이 오리지널이고 실용성보다 장식성을 우선했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는 디자인이다. 열람실 책상도, 의자도, 소파도, 벤치도 각각 여러 종류가 있고, 독서등까지 포함하면 조명 디자인만도 열 종류에 가깝다. 도대체 얼마나 시간을 들여서 세부를 완성해나갔을까? 조명 회사가 기업으로 성장할 때까지는 조명 디자인도 건축가의 일이었다. 섀시나 수도 관계 제품도 마찬가지였다. 

이 오리지널 디자인들은 아스플룬드의 신경질적인 집착이라기보다 디자인이라는 행위 자체를 기쁨으로 생각하는 그의 마음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조명도, 가구도, 예전의 건축가에게는 맨 마지막에 기다리고  있는 즐거운 마감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골격이 아니라 살갗이고 윗도리 안감이고, 요리를 완성하는 디저트 같은 것.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들기 때문에 더 재미있고, 귀찮기 때문에 연구할 여지가 있다. 아스플룬드나 라이트 시절에 건축가가 마지막 즐거움으로 삼고 있었을지도 모르는 일의 촉감과 기억이 선생님한테 계승되어 있는지도 모른다. (23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