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6

두 개의 방

철거일이 되었을 때, 저는 이리로 올라와서 포클레인이 집들을 하나씩 부수는 것을 지켜보았습니다. 그건 꽤 현실감이 없는 일이어서, 우리집 차례가 되었을 때도 나는 그냥 멍하니 보고 있었죠. 몇 번의 타격 끝에 마침내 한 쪽 벽에 무너져내렸을 때, 액자가 보였어요. 해바라기를 그린 조악한 유화였지요. 해바라기 그림을 걸어두면 집에 돈이 굴러들어온다며 어느 날 아버지가 술에 취해 사들고 오셨던 바로 그 액자였어요. 액자 안의 해바라기가 햇볕 아래 무방비로 드러났을 때, 그 때부터 내 강박이 시작된 것 같아요. 바로 그 순간에요. 그게 거기 있었다는 걸, 나는 정말 완전히 잊고 있었거든요. 

_문진영, <두 개의 방>[2021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29-30쪽, 문학동네, 2021. 


나는 생각했다. 지금 있는 것들은 모두 무언가의 잔해 위에 있다는 생각. 어쩌면 마음도 마찬가지 아닐까. 마음의 단면을 잘라 보면 나를 통과해 간 기억과 감정의 잔해들이 켜켜이 쌓여 있을 것이다. 그 단층을 관찰하고 소환하는 과정에서, 이미 사라진 것들은 다시 '지금, 여기'의 일부로 새롭게 모양을 만들지 않을까. 

_문진영, <두 개의 방> 작가노트 중에서. 

좋다. 
문진영의 이 소설을 다 읽은 순간에 나는 존 반빌의 <바다>를 떠올렸다. 
어떤 마음의 분위기, 그것이 끌고 가는 소설의 뉘앙스. 
작가노트나 인터뷰 읽는 걸 좋아한다. 소설을 비롯한 문학 작품은 그 자체로 빛나는 것이긴 하나, 속 이야기가 궁금할 때가 많다. 그랬을 때, 문학이 더 멋지게 다가오는 경우가 많다. 
어떤 생각으로 빚어진 하나의 작은 세계를 목도하는 근사한 체험. 
아 좋다.